지역화 윈도우 배포는 테스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역화한 윈도우가 배포 사이트(토렌토) 및 유료 사이트 등에 활용되는 것이 보이면 다음 작업부터 테스트 배포 방식을 고민할 것입니다. 윈도우 라이트 트윅(기능 삭제) 버전은 누적 업데이트 통합 시 에러가 나올 수 있습니다.
GHOSTSPECTRE님 Widnows 11 버전 업데이트 버전을 지역화했으며, 총 6 가지 에디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각각의 에디션은 디펜더 사용유무로 구분되어 집니다.
6 가지 에디션 중 SuperLite 에디션 4 가지(3~6번까지) ISO 설치는 자동 무인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PE 부팅 후, WinNTSetup같은 프로그램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자동 무인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 부분을 해결하려고 했으나, 제작자 소스에 비번이 있어 수정할 수가 없었습니다. Administrator 비번없이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캡처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자동 무인설치 파일은 '입니다'님이 도움주셔서 3~6번 에디션에 적용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ISO 윈도우 설치 시 에러가 나오는 경우에는 ESD 이미지를 WIM 이미지로 컨버팅하여 설치하거나, ISO 설치 뼈대를 윈도우 10용으로 교체하여 설치하시면 이상이 없을 것입니다. 현재 문제를 파악 중이나 능력이 안되어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포럼에 무월님이 이 문제로 수고를 해주셨는데, 제가 사용 중인 컴에서는 무작위로 에러가 나와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나중에 차선책으로 ISO 뼈대를 WPE 형태로 추가할 예정입니다. 번거롭게 합니다. 꾸~~~벅
'철없는 외삼촌'님께서 설치 및 기본 사용법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 인사 드립니다.
- COMPACT 에디션 : 사무실 및 작업용 컴퓨터에 적합(Windows 11 버전에서 불필요한 기본 응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부하를 일으키는 프로그램 제거, 최소한 조정)
- SUPERLITE 에디션 : 게이머와 스트리밍에 적합한 에디션(레지스트리, 서비스, 불필요한 구성 요소 조정, Windows 검색 끄기)
- SUPERLITE + SE 에디션 : SUPERLITE 에디션에 'StartAllBack' 프로그램 추가
각각의 에디션은 디펜더 사용과 미사용 버전으로 구분되어 있고, 자세한 트윅은 위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게스트 사용자의 네트워크 공유가 Windows 11(21H2) / Windows 10 2004(20H1) / 2009(20H2) / 2104(21H1) / 2109(21H2)버전에서는 기본 비활성화된 상태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공유가 필요하시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한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노트북/태블릿에 설치할 경우에는 COMPACT 버전을 설치하고, 최대 절전 모드/절전 모드를 활성화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작자 주요 트윅
- 엣지 삭제
- WinRE 삭제
- 윈도우 업데이트 2077년까지 일지 중지
- UWP 앱 / 게임 삭제(스토어 앱도 삭제된 상태)
- 디펜더 삭제(1, 3, 5번 에디션에만 해당)
- 원드라이버 삭제
- 클래식 계산기 추가
- Easy Context Menu 프로그램 추가
- 인쇄 스풀러 비활성화
- 관리/알림센터 비활성화(SUPERLITE 에디션만 해당)
- UAC(사용자 계정 컨트롤) 비활성화
한글화 작업(오프라인 작업)
- 한국어 언어팩 및 기능 언어팩 통합
- 영어 삭제(재설치 가능)
- 업데이트 통합(SSU-22000.652 / KB5012643)
- 닷넷 3.5 / SMB1.0 추가
- HEVC Video 코덱 추가
- 그림판(클래식) 추가
- 우클릭 메뉴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 추가
- Windows 사진 뷰어 활성화
- 예약된 저장소 비활성화
- 디펜더 폴더 제외 추가(바탕화면 ETC 폴더 등)
- WinX 메뉴 추가(디펜더 켜기_끄기 등)
- WinSxS 폴더 정리
총 6 가지 에디션으로 *************.esd 이미지로 마무리합니다. 첫 바탕화면 진입 후에 제작자관련 각종 트윅작업이 이루어지고, 마무리가 되면 재부팅됩니다.
※ 1~2번 사용자 계정 / 3~6번 Administrator 계정 설치입니다.
※ 3~6번 ServerRdsh 에디션
※ Defender 에디션은 정의파일 업데이트와 Windows MSRT(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가 통합되어 있지 않습니다.
※ 노트북 또는 테블릿의 경우에는 1~2번(COMPACT 버전)을 설치하고, 최대 절전 모드/절전 모드를 활성화하면 됩니다.
20220506_WINDOWS 11 PRO 21H2_SUPERLITE+SE+COMPACT_x64_22000.652_U6_by Ghost Spectre_KO_KY.esd
SHA1: 6422BD98BE4ADF697EA63B89BADF2CB598512F79
MD5: D5AD38B89F78DE8993E9B800F0F94634
CRC32: 1F1F2092
3.29GB (3,540,851,472 바이트)
Index: 1 (디펜더 삭제) - 사용자 계정 설치
Name: WINDOWS 11 PRO - COMPACT_KO_KY
Description: VERSION 21H2 / OS BUILD 22000.652 / Without Defender
Index: 2 (디펜더 사용) - 사용자 계정 설치
Name: WINDOWS 11 PRO - COMPACT + DEF_KO_KY
Description: VERSION 21H2 / OS BUILD 22000.652 / With Defender
Index: 3 (디펜더 삭제) - Administrator 계정 설치
Name: WINDOWS 11 PRO - SUPERLITE_KO_KY
Description: VERSION 21H2 / OS BUILD 22000.652 / Without Defender
Index: 4 (디펜더 사용) - Administrator 계정 설치
Name: WINDOWS 11 PRO - SUPERLITE + DEF_KO_KY
Description: VERSION 21H2 / OS BUILD 22000.652 / With Defender
Index: 5 (디펜더 삭제) - Administrator 계정 설치
Name: WINDOWS 11 PRO - SUPERLITE SE_KO_KY
Description: VERSION 21H2 / OS BUILD 22000.652 / Without Defender / Remove Startmenu / + StartAllBack
Index: 6 (디펜더 사용) - Administrator 계정 설치
Name: WINDOWS 11 PRO - SUPERLITE SE + DEF_KO_KY
Description: VERSION 21H2 / OS BUILD 22000.652 / With Defender / Remove Startmenu / + StartAllBack
20220506_WINDOWS 11 PRO 21H2_SUPERLITE+SE+COMPACT_x64_22000.652_U6_by Ghost Spectre_KO_KY.esd MediaFire Download |
▶ 윈도우 설치 시 ISO 이미지를 가지고 설치하실 분들은 여기로 가셔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 프린터 스풀링 활성화하는 방법은 여기로 가셔서 캡처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네트워크 프린터와 관련된 에러(0x0000011b)가 나오면 여기로 가셔서 참고하세요.
▶ 스토어 앱 설치는 아래 캡처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위젯 설치는 여기를 참고하시면 되고, 개념 정리는 여기로....
이전 버전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우클릭 메뉴에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가 삭제된 상태입니다. 피드백을 주셔서 부랴부랴 머리디밀기로 추가방법을 해결합니다.
필요하신 분은 레지스트리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 더블클릭하여 병합해 주시면 됩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txt] "Content Type"="text/plain" "PerceivedType"="text" @="txtfile" [HKEY_CLASSES_ROOT\.txt\PersistentHandler] @="{5e941d80-bf96-11cd-b579-08002b30bfeb}" [HKEY_CLASSES_ROOT\.txt\ShellNew] "NullFile"="" [HKEY_CLASSES_ROOT\txtfile] @="Text Document" "FriendlyTypeName"=hex(2):40,00,25,00,53,00,79,00,73,00,74,00,65,00,6d,00,52,\ 00,6f,00,6f,00,74,00,25,00,5c,00,73,00,79,00,73,00,74,00,65,00,6d,00,33,00,\ 32,00,5c,00,6e,00,6f,00,74,00,65,00,70,00,61,00,64,00,2e,00,65,00,78,00,65,\ 00,2c,00,2d,00,34,00,36,00,39,00,00,00 [HKEY_CLASSES_ROOT\txtfile\shell] @="open" [HKEY_CLASSES_ROOT\txtfile\shell\open] [HKEY_CLASSES_ROOT\txtfile\shell\open\command] @=hex(2):25,00,53,00,79,00,73,00,74,00,65,00,6d,00,52,00,6f,00,6f,00,74,00,25,\ 00,5c,00,73,00,79,00,73,00,74,00,65,00,6d,00,33,00,32,00,5c,00,4e,00,4f,00,\ 54,00,45,00,50,00,41,00,44,00,2e,00,45,00,58,00,45,00,20,00,25,00,31,00,00,\ 00 [HKEY_CLASSES_ROOT\txtfilelegacy] [HKEY_CLASSES_ROOT\txtfilelegacy\shell] [HKEY_CLASSES_ROOT\txtfilelegacy\shell\printto] "NeverDefault"="" [HKEY_CLASSES_ROOT\txtfilelegacy\shell\printto\command] @=hex(2):25,00,53,00,79,00,73,00,74,00,65,00,6d,00,52,00,6f,00,6f,00,74,00,25,\ 00,5c,00,73,00,79,00,73,00,74,00,65,00,6d,00,33,00,32,00,5c,00,6e,00,6f,00,\ 74,00,65,00,70,00,61,00,64,00,2e,00,65,00,78,00,65,00,20,00,2f,00,70,00,74,\ 00,20,00,22,00,25,00,31,00,22,00,20,00,22,00,25,00,32,00,22,00,20,00,22,00,\ 25,00,33,00,22,00,20,00,22,00,25,00,34,00,22,00,00,00 |
3~6번 에디션 ISO(USB) 설치 시 'Administrator' 계정 암호없이 설치하는 방법
2번 에디션_COMPACT 참고 이미지
6번 에디션_SUPERLITE + SE 참고 이미지
덕분에 감사드려요.잘 쓰겠습니다 ㅎㅎ
답글
편안한 시간 되시고, 행복한 주말 되세요!!
윈도우 설치시 70퍼대쯤부터 0x0000005b 오류코드가 발생합니다.
답글
^^; ISO 설치 시 나타나는 윈인 같는데, 쉽지않네요.
PE 부팅이 가능하시면 PE를 이용하여 설치하시면 이상이 없을 것입니다. 번거롭게 합니다.
흠..esd파일로 설치해보는게 처음인데
윈도우11 풀뼈대에 usb로 구워서 시도해봤는데
77퍼에서 0xc0000005 오류가 뜨네요
혹시 전에 올린 슈퍼라이트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현게시물과 성능이 같아지나요?
답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그냥 게임 좋아하는 사람인데
단순 게임보다 컴퓨터나 주변기기,
윈도우 최적화등에 관심이 많습니다...ㅎㅎ
잘은 모르지만요
(취미로 장비 수집 및 테스트, 장비카페에서 열렬히 활동중입니다)
개인적인 궁금점인데 블로그주인분께선
윈도우10과 11중, 어떤 윈도우가 더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하시는지요
훈이님 안녕하세요.
개인 사정때문에 답변이 늦었습니다.
확인해보니 Esd 이미지가 ISO 설치 시 에러가 나옵니다. 원인은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고, PE 부팅후에 WinNTSetup 같은 프로그램으로 설치했을 때에는 이상없습니다.
그리고 Esd 이미지를 Wim이미지로 컨버팅하여 ISO 이미지로 설치했을 때에는 이상없습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원인은 파악중입니다.
==============
개인적으로 윈도우 11는 아직 실사용을 안하고 있습니다.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것이 생각보다 많고요.... ^^;
멋진 선물입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ㅋㅋ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여튼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번 버전 설치는 어려워 몇달전에 올려주신 윈11 슈퍼라이트사용중인데...
확실히 순정과 차이가 큽니다... 저사양컴퓨터 (i5 2세대+gtx660)사용중인데...
저사양게임에서도 순간 이펙트가 큰것들을 사용하면 끊김 잠깐 멈추거나 잡렉등이 눈에 띌 정도로 보이는데...확실히 트윅버전들은 깔끔합니다...저는 호환성이나 게임프레임등은 체크하진않지만
윈10보다 윈11이 반응성이 확실히 빠른게 체감이 되네요
답글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글 잘 읽고 또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처음부터 없던 것인지 제가 서툰 사용으로 문제가 생긴 것인지.. 우 클릭 후 새로 만들기에 txt 문서 만들기가 없습니다.. 검색으로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생성하는 글을 좀 봤는데 레지스트리 상의 해당 경로가 본 저사양 최적화 버전에서는 아예 없더라구요.. 혹시 이 글을 읽고 알고 계신 내용이라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주말 즐겁게 보내시고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답글
안녕하세요.
https://zkim0115.tistory.com/1426
설치 후 여기로 가셔서 레지스트리를 추가해 보세요.!!
제작자가 원본에서도 누락된 부분이라 신경쓰지 못했습니다.
==============
저도 시간날 때 새로 설치하여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올려주신 링크의 레지스트리 파일을 병합해도 메뉴가 생성되지 않네요.. 나중에라도 혹시 해결 방법을 찾으신다면 번거로우시더라도 한번 더 댓글 남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답글
포스팅 본문 중간에 있는 다운로드 밑에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다운로드한 레지스트리 파일을 병합해 주시면 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Flibustier님 Windows 10,11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이 버전도 한번 사용해보겠습니다.
Netspeedmonitor가 윈도우11에서는 먹통인데, 잘 작동하는가 보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답글
하루님 안녕하세요.
5~6번 에디션에만 Netspeedmonitor가 자동설치 됩니다.
이번 업데이트 버전부터 제작자 소스 분석을 더 힘들게 하여 그냥 두었습니다. ^^;
================
Flibustier님 ...ㅠㅠ
이래저래 최근 소식을 찾아보니, 몸이 아프시다고 합니다.
한 동안 윈도우 업데이트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시 또 받아갑니다. 항상 이번엔 마지막세팅이라고 이미지를 뜨면 다시 나오네요. 혹시, 윈도우디펜더 스케줄러를 꺼도 자동검사가 일어나는데 없애는 방법을 알고 계시나요?
답글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디펜더와 관련하여 소스 정리를 요새하지 않아서 잘모르지만,
바탕화면에 있는 ,Defender Tools, 또는 시작메뉴를 우클릭하면 디펜더_켜기_끄기'로 하면 디펜더가 비활성화 될 것입니다.
그리고 Defender Control 2.1 버전이 새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 3 가지 프로그램이 이번 윈도우 11 업데이트에 디펜더관련해 잘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하시는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꼼지락 선생님 CPU-Z, Visual c++, 7zp같은 프로그램을 설치본에서 제거하려면 DISM++로 해야 되나요.
윈도우를 설치한 후 제거해도 되지만, 설치 전에 제거하고 싶은데 방법 좀 알려 주세요.
위 프로그램은 일반인들에겐 필요없거든요.
답글
안녕하세요.
esd 이미지는 읽기 전용이라 편집이 불가능하니 esd 이미지를 wim 이미지로 변환해야합니다.
그 다음 Dism++ 프로그램에서 설치를 원하는 에디션을 마운트합니다.
C++ 런타임 라이브러리 설치는 윈도우 설치환경에 따라 설치되는 부분이라 저희가 삭제할 수 없습니다. CPU-Z, 7-zip 프로그램들 삭제는 Windows\Setup\Files 폴더에서 하시면 됩니다.
삭제가 모두 끝나면 이미지에 적용하고 언마운트.....
=============
처음 한글화할때에는 삭제할 생각이였으나, 제작자를 존경하는 의미에서 그대로 두는 것입니다.
수고하세요!!
저는 선생님처럼 윈도우를 수정해서 배포할 정도의 사용자는 아닙니다.
그냥 윈도우 이미지를 구해 포맷하고 쓰는 정도입니다.
식당개 3년이면 라면을 끓인다고 예전에 nlite, rt7lite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라이트 버전을 만들어 쓴 적은 있습니다. 물론, 혼자 만들어 쓴 것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많은데 굳이 무겁게 돌릴 필요는 없다는 생각에 지금도 라이트 버전을 씁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글
제가 설명하면서도 좀 그랬습니다.
ISO 윈도우 설치가 아니라면, PE 이용 시 윈도우 이미지를 HDD나 SSD에 복사 과정이 끝난 다음에, 재부팅하여 설치하시 마시고, 위에 경로에 가셔서 삭제하여도 상관없습니다.
아무튼 쉽게 설명을 한다고 했지만, 제가 초보시절을 생각하면 너무도 어려운 과정입니다. ^^
편안한 시간 보내세요!!
메인pc에도 깔아서 썼던 os지만, 최근에 워드 작성용으로 태블릿을 하나 구매했는데 거기에 꼭 깔아야겠네요..
n3450 성능이 너무 구려서리
항상 잘 쓰고있습니다
답글
하이젤님 안녕하세요!!
환절기에 건강 조심하시고,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ini 같은 파일들 연결프로그램으로 메모장을 쓰고 싶은데 "이파일을 열때 사용할앱을 선택하세요" 선택지에 메모장 자체가 없네요 이건 따로 방법이 없을까요? 메모장 바탕화면에 켜놓고 문서를 드래그하면 열리긴하는데 작업할때마다 이렇게하기 너무 귀찮아서...
답글
ㅠㅠ
감사합니다. 레지 설채해봐도 아쉽지만 적용이 안되네요
ㅠㅠ 그러면 다시 프로그램 하나 업로드했습니다. 윈도우 10용이지만 한번 다운로드하여 적용해 보세요.
FileAssocFixTool_Win10.7z
프로그램 실행하면 아이콘들이 있는데, ini 아이콘을 누르시면 됩니다.
오오오오오 어떤 원리인진 모르겠지만 연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당
답글
다행입니다. 고스트님이 새로운 메모장 앱을 삭제하여 나타나는 에러아닌 에러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아.. 원래 11에 추가되었던 메모장인가 보군요.
혹시 그게 마소 스토어에 있는 윈도우 노트패드 인걸까요?
답글
네~~ 맞습니다. 언제인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지만, 마소에서 메모장을 새로운 앱으로 바꾼다고 했습니다.
혹시 슈퍼라이트에 윈도우 업데이트하면 슈퍼라이트 날라가버리나요? 따로 iso 설치해서 해봐야할까요
답글
누적 업데이트 설치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새로 윈도우를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랜만에 댓글 남겨봅니다 ㅋㅋ
요거 노트북에 설치 가능할가요??
답글
제작자가 1번이나 2번으로 설치하라고 하네요.
편안한 시간 되세요!!
항상 좋은자료 감사드립니다~
답글
ㅋㅋ 좋은 시간 보내세요!!
SUPERLITE 버전 설치했고 풀뼈대 적용 했어요.
설치시 암호 입력한적은 없고요, 부팅 및 사용은 잘 됩니다.
작업 스케줄러에서 새작업 만들때 암호를 입력하라고 뜹니다.
" 이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십시오"
암호가 뭔지 모르겠네요.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답글
안녕하세요. 슈퍼라이트 버전같은 경우, 계정이 Administrator계정이라 '작업 스케줄러'가 제한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를 사용하려면 새롭게 사용자 계정을 추가해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
평상 시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라 구글링과 사용중인 컴에 테스트하니 이런 결론이 나옵니다. ^^;
한 주 잘 마무리하시고, 장마에 비 피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작업스케줄러 생성시 - 일반탭 - 사용자가 로그온할때만 실행 (암호입력 없이됨) // 사용자의 로그온 여부에 관계없이 실행 (기존암호를 입력하라고나옴) ==> 로그온할때만 실행 옵션을 선택해서 해결했습니다.
사진을 캡쳐 업로드 하고 싶은데 안되네요.
감사합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