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 윈도우 배포는 테스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역화한 윈도우가 배포 사이트(토렌토) 및 유료 사이트 등에 활용되는 것이 보이면 다음 작업부터 테스트 배포 방식을 고민할 것입니다. 윈도우 라이트 트윅(기능 삭제) 버전은 누적 업데이트 통합 시 에러가 나올 수 있습니다.
GHOST SPECTRE님과 같이 라이트 윈도우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The World Of PC'님 윈도우를 두 번째로 한글화해 보았습니다. 제작자 윈도우 특징이 무봉인 윈도우라 일부 오프라인 한국어 적용이 누락되는 부분과 '시각 효과' 에러를 잡느라 조금 헤매였습니다.
용량보다 기능을 최적화한 윈도우이고, 디펜더 사용유무에 따라 2 가지 에디션으로 구분됩니다. 현재 누적 업데이트 통합까지는 이상없이 진행되었습니다.
포럼의 '아리아리아'님 소개로 한글화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 인사드립니다. 꾸~~~벅
제작자 주요 트윅
- 스토어 앱을 포함한 모든 앱 삭제(재 설치 가능)
- 프린터 스풀링 비활성화
- Windows 검색 비활성화
- 알림센터 비활성화(활성화 가능)
- 최대 절전 모드 비활성화
- 우클릭 메뉴 '관리자 권한 얻기' 추가
- 시작메뉴 추가(StartIsBack++)
- Compact 압축 적용
- 업데이트 2050년까지 일시 중지 / 드라이버 자동 업데이트 비활성화
- 예약된 저장소 7GB 비활성화
한글화 작업(오프라인 작업)
- 한국어 언어팩 및 기능 언어팩 통합
- 영어 삭제
- 업데이트 통합(19043.1023)
- 닷넷 3.5 / SMB1.0 활성화
- HEVC Video 코덱 추가
- 클래식 계산기 추가
- StartIsBack++ 재설치
- 우클릭 메뉴 정리
- 7-ZIP 추가
- 시각효과 에러 복구 / 한국어 에러 복구(추가 프로그램 설치와 레지스트리 적용때문에 바탕화면 처음 진입 시 바로 재부팅함.)
설치는 무봉인 Administrator 계정으로 설치되며, 용량문제로 *****************.esd 이미지로 마무리합니다.
20210528_Nexus LiteOS 10_21H1_19043.1023_x64_by The World Of PC_KO_KY.esd
SHA1: 27A69920D9F6AF1611A6C50F07A15AF5205DDF5F
MD5: 3D2B52405C6ACC9EC9011DB8101AEAAE
CRC32: 576D8A44
2.75GB (2,956,501,060 바이트)
※ 무봉인 Administrator 계정으로 설치
Index: 1 (디펜더 사용)
Name: Nexus LiteOS 10 : 21H1 [Defender Edition]_KO_KY
Description: Nexus LiteOS 10 : 21H1 / OS Build : 19043.1023 / Defender Edition [The World Of PC]
Index: 2 (디펜더 삭제)
Name: Nexus LiteOS 10 : 21H1 [Non - Defender Edition]_KO_KY
Description: Nexus LiteOS 10 : 21H1 / OS Build : 19043.1023 / Non - Defender Edition [The World Of PC]
20210528_Nexus LiteOS 10_21H1_19043.1023_x64_by The World Of PC_KO_KY.esd MediaFire Download |
▶ 윈도우 설치 시 ISO 이미지를 가지고 설치하실 분들은 여기로 가셔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 밑에 캡처 이미지를 참고하여 '프린터 스풀링'을 활성화하고 '시각효과'를 조정하시면 됩니다.
참고 이미지(64비트)
드라이버 설치 및 시각효과 설정 참고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ㅋㅋ 편안한 주말 되세요~~
원래는 제작자 블로그에 있는 Xtreme Gamers Edition v2 설치하려고 했는데
이 버전은 영문만 지원해서 설치 후 언어팩만 추가해줬더니 버그인지 뭔지
무한 새로고침 현상이 일어나서 4번이나 포맸을했다가 재설치했는데도 도저히 제 실력으로는
해결방법이 없어서 할 수 없이 요 버전이라도 쓸려고 받아갑니다. ㅠㅠ
고생하셨습니다
답글
고생하십니다. ^^;
제작자가 다른 언어 사용도 가능하다고 했지만, 실제로 트윅된 부분을 보면 동아시아권 언어에 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여 언어팩을 설치하여도 표시 언어만 가능하고, 입력 등이 에러가 있습니다.
게이머 에디션 같은 경우는 아직 한글화를 해 본적이 없지만, 제작자 트윅 특징상 위와 같을 것이라 예상이 됩니다.
남은 주말 편안한 시간 보내세요~~
방금 usb로 담아 설치중인데
windows could not set the offline locale information 에러가 뜨면서 설치가 중단되네요.
다운로드 받은 esd 파일을
원본iso파일(원 제작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은)의 소스폴더에서
원본 install.wim 삭제 후
꼼지락님이 만드신 esd파일을 install.esd로 바꾸고 집어넣었습니다.
그 후 저장하고 usb로 만들어서 설치를 했는데 혹시 과정이 잘못됐나요?
답글
음... ISO 이미지를 한글판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제작자 원본 영어로 사용할 경우에는 ISO 이미지 안에 있는 파일들을 몇 가지 수정해야 합니다.
boot.wim 이미지도 한국어로 설정해야 하고.... ^^;
ISO 한국어 뼈대는 포스팅 다운로드 주소 바로 밑에 링크가 있으니 참고하시고요.
아니면 가지고 있는 윈도우 10 한국어 ISO 원본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